변별적 자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변별 자질에서 넘어옴)

변별적 자질(辨別的資質, distinctive feature)이란 언어학에서 음운학 구조를 분석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이다. 변별적 자질은 말하고자 하는 음의 자연 분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세분할 수 있다.

  • 주요 분류 자질(主要分類資質, Major Class features)
  • 후두 자질(喉頭資質, Laryngeal features)
  • 방법 자질(方法資質, Manner features)
  • 위치 자질(位置資質, Place features)

이러한 자질 세분화 또한 해당 음의 음성학적 특질을 기반으로 하여 더 세분화된다. 1950년대 변별적 자질의 음운학적 분석이 시작된 이후, 전통적으로 자질은 음이 그러한 음성적 특질을 가졌는지 여부에 대해 두 개의 값으로 세분화되어 왔다.

그러므로 양성값 [+]은 이러한 자질을 가졌다는 것을 나타내며, 음성값 [-]은 그러한 자질이 없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최근의 변별적 자질 이론의 개발로, 음운학자들은 〈단일값 자질〉의 존재를 제안했다. 〈하나의 값을 가진 자질〉이라고 불리는 이것들은 자질을 가진 음의 분류를 설명할 수 있으며, 그것들이 없는 분류는 설명할 수 없다.

종류[편집]

주요 분류 자질(主要分類資質, Major Class features)은 소리의 주요 분류를 나타낸다.

  • [+/- 자음성(子音性, consonantal)]: 성도의 협착에 의해 일어나는 소리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측음, [r], 등. 모음, 양측음, 후두음은 자음성이 아니다.
  • [+/- 공명성(共鳴性, sonorant)]: 성도에 있어서의 구강의 협착의 종류를 나타낸다. [+son]는 모음, 공명 자음을 나타내며, [-son]는 소리 도내의 공기의 밸런스의 혼란을 일으키는 난류를 수반해 발생되는 장해음으로 나타난다.
  • [+/- 성절성(成節性, syllabic)]: 성절성 분절음은 음절의 핵으로서 기능을 나타낸다. [+syl]은 음절의 정점을 이루어 단독으로 하나의 음절을 이루지만, [-syl]은 음절의 정점을 이루지 못하여 단독으로 하나의 음절을 이룰 수 없다.

후두 자질 (喉頭資質, Laryngeal Features)은 음에 대한 성문의 상태를 세분화한다.

  • [+/- 유성음성(有聲音性, voice)]: 이 자질은 조음할 때 성대의 진동이 발생하는 분절음을 나타낸다.
  • [+/- 확장 성문성(擴張聲門性, spread glottis)]: 이 자질은 성문의 개방여부를 통해 분절음의 기식 상태를 나타낸다. [+sg]는 성대가 넓게 벌려져서 협착적 호흡이 일어나는 분절음을 가리키며, [-sg]는 그 반대를 나타낸다.
  • [+/- 협착 성문성(狹窄聲門性, constricted glottis)[1]]: 이 자질은 성문의 가까운 정도를 나타낸다. [+cg]는 성대가 가깝게 좁혀짐으로써 공기가 잠시동안 통과할 수 없는 분절음을 나타내며, [-cg]는 그 반대를 나타낸다.

방법 자질 (方法資質, Manner Features)은 조음 방법을 세분화한다.

  • [+/- 지속성(持續性, continuant)]: 이 자질은 성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을 정도로만 좁혀져서 나는 소리를 나타낸다. [+cont]는 공기의 흐름을 막지 않는 정도의 소리를 나타내며, [-cont]는 장애로 인하여 공기의 흐름이 몇몇 조음 장소에 잠시동안 막히는 소리를 나타낸다.
  • [+/- 비음성(鼻音性, nasal)]: 이 자질은 연구개를 내려뜨려 공기가 코로 빠져 나가게 해서 내는 소리를 나타낸다. [+nas]는 이러한 비음을 나타내며, [-nas]는 구강음을 나타낸다.
  • [+/- 조찰성(粗擦性, strident)]: 이 자질은 공기의 흐름이 어떤 표면 위를 지나 갈 때 그 표면의 성격, 흐름의 속도 등에 따라 시끄러운 소리를 나타내는 분절음을 가리킨다.
  • [+/- 설측성(舌側性, lateral)]: 이 자질은 혀의 중간 좌우편이나 한쪽 편을 낮춤으로서 공기가 어금니 근처로 빠져 나가게 해서 내는 분절음을 나타낸다.
  • [+/- 지연 해제성(遲延解除性, delayed release)[2]]: 이 자질은 성도에서 폐쇄를 가지고 만들어지는 분절음을 가리킨다.

위치 자질 (位置資質, place features)은 조음 위치를 세분화한다.

  • 순음(脣音, LABIAL): 입술에서 조음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낸다.
  1. [+/- 원순성(圓脣性, round)]: [+round]는 입술을 둥글게 내는 분절음을, [-round]는 그렇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 설정음(舌頂音, CORONAL): 설정음의 소리는 혀끝이나 혀 끝 또는 그곳 모두에서 조음된다.
  1. [+/- 전방성(前方性, anterior)]: 입안의 경구개치경(硬口蓋齒莖, 영어: palato - alveolar)을 기준으로 앞부분에서 조음을 할 경우 [+anterior], 뒷부분에서 조음을 할 경우 [-anterior]로 나타낸다.
  2. [+/- 분산성(分散性, distributed)]: 이 자질은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거리에 걸친 수축에 의해 형성되는 분절음을 나타낸다. [+distributed]는 긴 거리에, [-distributed]는 짧은 거리에 걸친 수축에 의해 형성이 되는 분절음을 나타낸다.
  • 설배음(舌背音, DORSAL): 설배음의 소리는 혀 등을 올려 조음된다. 모음은 모두 설배성이다.
  1. [+/- 고설성(高舌性, high)]: [+high]는 후설면이 입천장에 가까운 분절음을, [-high]는 그 반대의 경우를 나타낸다.
  2. [+/- 저설성(低舌性, low)]: [+low]는 후설면이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조음되는 분절음을, [-low]는 그 반대의 경우를 나타낸다.
  3. [+/- 후설성(後舌性, back)]: [+back]은 후설면을 입에서 뒤쪽으로 수축시켜 내는 분절음을, [-back]은 후설면을 입에서 앞쪽으로 수축시켜 내는 분절음을 나타낸다.
  4. [+/- 긴장성(緊張性, tense)]: 이 자질은 주어진 음의 조음동작 전체가 성문 상부의 근육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낸다. [+tense]는 근육을 많이 쓰는, 신중하고 정확하고 최대한 뚜렷하게 나타내는 분절음을 가리키며, [-tense]는 빠르면서도 약간 불분명하게 조음되는 분절음을 가리킨다.
  • [근원성(根源性, RADICAL)]: 이 자질은 설근에 의해 생성되는 분절음을 나타낸다. 인두음과 성문마찰음이 이에 해당된다.

자질 연구의 역사[편집]

자질(資質, features)이라는 말은 1928년에 있었던 국제언어학회에서 로만 야콥슨의 논문에 의해 처음으로 언급되었고, 이 후 1952년에 야콥슨과 모리스 할레, 그리고 칼 구너 판트[3]에 의해 공식적으로 제안이 되었다. 즉, 이전에는 /p/라는 분절음을 정의할 때 '양순무성폐쇄음'이라고 한 것을 앞으로는 이 음을 구성하고 있는 자질로 정의하자는 주장이었다. 이러한 자질 설정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첫째, 두가지 값만을 허용한다.
둘째, 음향적(청각적)인 것이다. 즉, 언어활동 가운데서 말하는 쪽보다는 듣는 쪽에 더 많은 비중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언어보편적인 목적을 위해 제안하고 있다.
넷째, 자음과 모음 모두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그러다가 1968년노엄 촘스키모리스 할레에 의해 저술된 영어의 음성체계(英語의音聲體系, The Sound Pattern Of English)가 발간이 되었는데, 이 책은 야콥슨 등이 제안했던 자질의 이름을 변경하고, 음향음성학이 아닌 조음음성학에 근거를 두고 자질 설정을 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SPE(315쪽 ~ 316쪽)에서는 성문 협착성(glottal constriction)으로 표기가 되어 있다.
  2. SPE(318쪽 ~ 322쪽)에서는 이 자질을 해제자질들(release features)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이 자질과 대응되는 자질은 순간해제(instantaneous)라고 하였다.
  3. Jakobson, R, G. Fant & Halle, Morris. 1952. Preliminaries to Speech Analysis: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their Correlates. Cambridge:MIT Press

참고 문헌[편집]

  • 노엄 촘스키; 모리스 할레 (1968).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New York: Harper and Row. 
  • Clements, George N. (1985년 2월). “The geometry of phonological features”. 《Phonology Yearbook》: 225–252. doi:10.1017/S0952675700000440. 
  • Flynn, Darin. (2006). Articulator Theory. University of Calgary. https://web.archive.org/web/20110101072734/http://www.ucalgary.ca/dflynn/files/dflynn/Flynn06.pdf.
  • Hall, T. A. (2007). "Segmental features." In Paul de Lacy, ed., The Cambridge Hndbook of Phonology. 311-33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ussenhoven, Carlos; Jacobs, Haike (2005). 《Understanding Phonology》. London: Hoddor Arnold. ISBN 0-340-80735-0. 
  • Roman Jakobson; Gunnar Fant; Morris Halle (1952). 《Preliminaries to Speech Analysis: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their Correlates.》. Cambridge, Ma.: MIT Press. 
  • 신지영; 차재은 (2003). 《우리말 소리의 체계》. 서울: 한국문화사. 
  • 전상범 (2004). 《음운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