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 (열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밤 (껍질 없음)
100 g (3.5 oz)당 영양가
에너지820 kJ (200 kcal)
44 g
당분11 g
1.3 g
1.6 g
비타민함량 %DV
비타민 A (동등)
0%
1 μg
티아민 (B1)
13%
0.144 mg
리보플라빈 (B2)
1%
0.016 mg
나이아신 (B3)
7%
1.102 mg
비타민 B6
27%
0.352 mg
엽산 (B9)
15%
58 μg
비타민 B12
0%
0 μg
비타민 C
48%
40.2 mg
무기질함량 %DV
칼슘
2%
19 mg
철분
7%
0.94 mg
마그네슘
8%
30 mg
5%
38 mg
칼륨
10%
484 mg
나트륨
0%
2 mg
아연
5%
0.49 mg
기타 성분함량
수분60.21 g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밤나무, 약밤나무밤나무속 식물의 열매이다. 견과의 일종으로, 가시가 난 송이에 싸여 있고 갈색 겉껍질 안에 얇고 맛이 떫은 속껍질(보늬)이 있으며, 날것으로 먹거나 굽거나 삶아서 먹는다.

종류[편집]

밤은 10여 종이 있으나, 과실로 이용하는 것은 , 약밤, 유럽밤, 미국밤 4종이다.[1]

(C. crenata)[편집]

"한국밤"으로도 부른다. 알이 크고 질이 좋다. 평균 수분 60%, 녹말 30%, 당분 5%, 단백질 4% 정도를 함유한다.[2] 한국에서는 남부 지방에서 주로 재배하는데, 부여, 공주충청남도 지역과 광양, 순창, 임실전라남도 지역, 하동, 산청경상남도 지역이 대표적인 재배지이다.[3] 국내개발 품종과 일본 등 외국에서 도입한 품종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한국 재래밤은 감미가 높으나 일본밤은 그렇지 못하다.[1][2]

국내 개발 품종으로는 광주올밤(廣州早栗, '중부 7호'), 백중밤(白中栗, '장암' 계열), 산대밤(山大栗, '중부 6호'), 산성밤(山城栗, '중부 26호'), 옥광밤(玉光栗, '중부 18호'), 장위밤(長位栗), 중흥밤(中興栗, '중부 17호'), '포천 B1호' 등이 있다.

외국에서 도입한 품종으로는 '단택'(丹澤/丹沢 단자와[*]), '대화조생'(大和早生 야마토와세[*]), '삼조생'(森早生 모리와세[*]), '유마'(有磨 아리마[*]), '은기'(銀寄 긴요세[*]), '이취'(伊吹 이부키[*]), '이평'(利平 리헤이[*]), '축파'(筑波 쓰쿠바[*]), '풍다마조생'(豊多摩早生 도요타마와세[*]) 등이 있다.[1][2]

옥광과 대보는 단단하고 겉껍질이 얇아서 군밤으로 먹기에 좋다. 병고밤은 수분 함량이 많아서 생밤으로 먹어도 좋다. 포르단(수락밤)은 속껍질이 잘 벗겨져 먹기에 좋다.

약밤(C. mollissima)[편집]

흔히 "평양밤"이라고 부르며, 알이 작고 속껍질이 잘 벗겨지며 맛이 달다.[4][2] 한국에서는 중부 지방이나 그 이북에서 재배한다.[5]

유럽밤(C. sativa)[편집]

한국밤에 비해 알이 작고 질도 단단하지 않다.

미국밤(C. dentata)[편집]

생산[편집]

대한민국은 중국에 이어 세계 밤 생산 2위 국가로 전 세계 밤 생산량의 7% 가량을 차지한다.

한편 밤나무의 눈은 4월경에 나오며 이후 약 2개월간의 개엽시기를 거쳐 개화시기를 갖은후 9월경에 열매를 맺는다.[6]

영양[편집]

밤 속에는 탄수화물, 칼슘··칼륨 같은 무기질,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다.[2]

이용[편집]

밤은 날로 먹기도 하고, 삶거나 구워서 먹기도 하며, 여러 가공 식품에 쓰이기도 한다.[2] 설탕이나 물 꿀물에 조리기도 하고, 밤가루를 내어 이나 이유식을 만들기도 한다.[2] 밤가루는 각종 과자와 , 등의 재료로도 사용하며,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데 쓰기도 한다.[2]

밤은 한약재로도 쓰이는데, 만성 구토증과 당뇨병을 치료하고 위장과 신장을 튼튼하게 한다.[2]

대부분 문화권에서 식용 밤은 군밤, 삶은밤, 제과 용으로 익힌 상태에서 소비되는 것과 달리 대한민국은 밤을 김치 등 요리의 부재료 및 제사 의식 용으로 생밤 형태로 상당량을 소비한다. 전국 밤 소비량의 절반 가량은 추석 때 소비된다.

지방과 집안마다 제사나 차례상을 올리는 풍습이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꼭 제사상에 오르는 것이 바로 깎은 밤이다. 다른 식물의 경우 나무를 길러낸 최초의 씨앗은 사라져 버리지만 밤만은 땅속에 들어갔던 최초의 씨밤이 그 위의 나무가 커져도 절대로 썩지 않고 남아 있다고 한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도 애초의 씨밤은 그 나무 밑에 생밤인 채로 오래오래 그냥 달려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밤은 조상의 뿌리를 기억하자는 맥락에서 제사상에 올린다는 것이다.

각주[편집]

  1. “임산물정보 > 수실류 > 밤”. 《임산물유통정보시스템》. 산림조합중앙회.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2.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재배와 관찰 > 식물의 이용 > 원예식물 > 과수 > 밤나무〉
  3. “밤나무 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수목원.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4. “약밤나무”.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5. “약밤나무 Castanea bungeana Blume”.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수목원.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6. ( 산림청 통합자료실 , 임산물표준재배지침(2)-밤 )http://www.forest.go.kr/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69&mn=NKFS_06_09_01&nttId=3144138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