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흥 (발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흥(大興)
737년 ~ 793년
국가발해(渤海)
군주발해 문왕

발해 문왕 시기에 위치한 대흥

대흥(大興)은 발해 문왕(文王)의 첫 번째 연호이다. 737년에서 774년까지 38년 동안 사용되었고, 774년부터 최소 7년 동안 보력(寶曆) 연호를 사용하다가 다시 대흥 연호로 돌아와 793년까지 사용하였다. 《신당서》의 기록에 따르면 737년에 무왕(武王)이 죽고 뒤를 이어 즉위한 문왕이 연호를 대흥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793년에 문왕이 죽자, 그의 족제(族第)인 대원의(大元義)가 즉위하여 수개월 동안 이어서 사용하였고, 대원의를 폐위하고 즉위한 성왕이 연호를 바꾸었다.

정혜공주묘비에는 보력이라는 연호가 등장하는데, 보력 7년에 정혜공주의 장례 기록이 나타나고 있어 보력 연호를 최소 7년 동안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혜공주묘비의 일간지(日干支)를 통해 추산된 보력 원년은 774년이다. 그러나 이후 정효공주묘비, 《일본일사(日本逸史)》 등에 대흥 56년, 대흥 57년의 연호가 다시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보력 7년(780년) 이후 최대 보력 18년(791년) 이전에 대흥 연호로 되돌아간 것으로 보인다.[1]

연대대조표[편집]

대흥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서력 737년 738년 739년 740년 741년 742년 743년 744년 745년 746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정축(丁丑) 무인(戊寅) 기묘(己卯) 경진(庚辰) 신사(辛巳) 임오(壬午)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병술(丙戌)
대흥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서력 747년 748년 749년 750년 751년 752년 753년 754년 755년 756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정해(丁亥) 무자(戊子) 기축(己丑) 경인(庚寅) 신묘(辛卯) 임진(壬辰) 계사(癸巳) 갑오(甲午) 을미(乙未) 병신(丙申)
대흥 21년 22년 23년 24년 25년 26년 27년 28년 29년 30년
서력 757년 758년 759년 760년 761년 762년 763년 764년 765년 766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정유(丁酉) 무술(戊戌) 기해(己亥)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계묘(癸卯) 갑진(甲辰) 을사(乙巳) 병오(丙午)
대흥 31년 32년 33년 34년 35년 36년 37년 38년[2] 39년 40년
서력 767년 768년 769년 770년 771년 772년 773년 774년 775년 776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정미(丁未) 무신(戊申) 기유(己酉) 경술(庚戌) 신해(辛亥) 임자(壬子)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진(丙辰)
대흥 41년 42년 43년 44년 45년 46년 47년 48년 49년 50년
서력 777년 778년 779년 780년 781년 782년 783년 784년 785년 786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정사(丁巳) 무오(戊午)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辛酉) 임술(壬戌) 계해(癸亥)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대흥 51년 52년 53년 54년 55년 56년 57년
서력 787년 788년 789년 790년 791년 792년 793년
육십간지
(六十干支)
정묘(丁卯) 무진(戊辰)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

각주[편집]

  1. 송기호, 〈발해 정혜공주묘비의 고증에 대하여〉,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1981
  2. 이 때부터 최소 44년, 최대 55년까지는 보력 연간으로 보기도 한다.

관련항목[편집]

발해
이전연호: 다음연호:
인안 보력
중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