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三十七)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Jin Version, Volume 37)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보
종목국보 제202호
(1981년 3월 18일 지정)
수량1권1축
시대고려시대
소유(재)아단문고
위치
(재)아단문고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재)아단문고
(재)아단문고
(재)아단문고(대한민국)
주소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9길 10-10, (재)아단문고 (충정로2가)
좌표북위 37° 33′ 53″ 동경 126° 57′ 54″ / 북위 37.56472° 동경 126.96500°  / 37.56472; 126.96500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三十七)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아단문고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다.

1981년 3월 18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02호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제37(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第三十七)로 지정[1]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2]

개요[편집]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 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크게 영향을 끼친 불교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이 책은 동진의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화엄경』 진본 60권 중 권 제37의 내용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크기는 세로 26cm, 가로 768.3cm이며, 종이를 계속 이어붙여 두루마리처럼 말아서 보관하고 있다.

책 끝에는 고려 숙종 3년(1098)에 이필선의 시주로 간행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지만, 원래 불상 속에서 발견된 것이라서 책머리의 제목과 책의 차례 일부분이 누락되고 본문에 손상이 있다.

이 책은 간행기록이 정확하게 전하는 화엄경 목판본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가치가 크며, 고려 초기의 목판인쇄 및 화엄경 판본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문화공보부장관 (1981년 3월 18일). “문화공보부고시제489호(문화재지정)”. 1981년 3월 20일 관보 제8784호. 11-13쪽. 11쪽. 
  2.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제17328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0. 8. 25. / 63 페이지 / 1.2MB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