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치 논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논리학에서 다치 논리는 두 개 이상의 진릿값이 있는 명제 논리이다. 전통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 미적분학 에서는 모든 명제에 대해 두 가지 가능한 값(즉, "참"과 "거짓")만 있었다. 고전적인 이치 논리n 이 2보다 큰 경우 n 값 논리로 확장될 수 있다. 문헌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것은 3치 (예: 우카시에비치클레이니, "true", "false" 및 "unknown" 값을 허용함), 4치, 9치, 그리고 유한 치, 그리고 퍼지 논리 및 확률 논리와 같은 무한 치이다.

역사[편집]

배중률의 법칙을 완전히 받아들이지 않은 최초의 알려진 고전 논리학자는 아리스토텔레스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법칙이 미래의 사건에 모두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고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이 고립된 발언을 설명하기 위해 다치 논리 시스템을 만들지 않았다. 20세기가 오기 전까지 논리학자들은 배중률을 포함하거나 가정하는 아리스토텔레스 논리를 따랐다.

20세기는 다치 논리의 개념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폴란드 논리학자이자 철학자인 얀 우카시에비치미래시점 우연명제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세 번째 값인 "가능"을 사용하여 다치 논리 시스템을 만들기 시작했다. 한편, 미국 수학자 에밀 포스트도 n≥ 2(n 은 진리값)의 공식화를 도입했다.나중에, 우카시에비치과 알프레트 타르스키는 함께 n≥ 2일 때의 공식화를 도입했다. 1932년 한스 라이헨바흐n →∞인 많은 진리값의 논리를 공식화했다. 쿠르트 괴델직관 논리가 유한치 논리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고, 고전 논리와 직관 논리 사이의 중간인 괴델 논리 체계를 정의했다. 이러한 논리는 초직관 논리이다.

[편집]

클레이니 (강) K3 및 프리스트 논리 P3[편집]

클레이니의 "(강한) 불확정성 논리" K3 (때때로 ) 및 Priest의 "역설의 논리"는 세 번째 "정의되지 않은" 또는 "불확정한" 진리 값 I 가 추가된다. 부정 (¬), 논리곱 (∧), 논리합 (∨) 등에 대한 진리 함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1]

~
T F
I I
F T
T I F
T T I F
I I I F
F F F F
T I F
T T T T
I T I I
F T I F
→ K T I F
T T I F
I T I I
F T T T
↔ K T I F
T T I F
I I I I
F F I T

두 논리의 차이점은 동어반복이 정의되는 방식에 있다. K3 에서는 T 만이 지정된 진리값 이고 P3에서는 TI 둘 다 그러하다.

Bochvar의 내부 3값 논리[편집]

또 다른 논리는 Dmitry Bochvar의 "내부" 3치 논리이다. , Kleene의 약한 3치 논리라고도 한다. 부정과 조건을 제외하고 진리표는 모두 위와 다르다.[2]

∧+ T I F
T T I F
I I I I
F F I F
∨+ T I F
T T I T
I I I I
F T I F
→+ T I F
T T I F
I I I I
F T I T

Bochvar의 "내부" 논리에서 중간 진리값은 다른 변수의 값에 관계없이 공식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전염성"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2]

Belnap 논리 ( B4 )[편집]

Belnap 의 논리 B4 콤바인 K3 P3 과잉 결정된 진리값은 여기에서 B 로 표시되고 과소 결정된 진리값은 N으로 표시 된다.

f¬  
T F
B B
N N
F T
f T B N F
T T B N F
B B B F F
N N F N F
F F F F F
f T B N F
T T T T T
B T B T B
N T T N N
F T B N F

괴델 논리 G kG [편집]

1932년 괴델[3] 를 많은 진리값 , 을 갖는 다치 논리로 정의했다. 비슷한 방식으로 그는 무한히 많은 진리값을 가진 논리를 정의했다. , 여기서 진리값은 구간의 모든 실수이다.

그리고 최소값최대값으로 각각 정의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괴델 논리는 완전히 공리화될 수 있다. 즉, 모든 동어반복이 증명 가능한 논리적 미적분학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Łukasiewicz 논리 LvL[편집]

그리고 얀 우카시에비치는 다음 함수를 통해 정의했다.

처음에 그는 1920년에 자신의 3치 논리를 위해 이러한 정의를 사용했다.1922년 그는 무한히 많은 값을 가진 논리를 개발했다. , 진리값이 구간의 실수에 걸쳐 있는 경우 . 두 경우 모두 지정된 진리값은 1이었다.[4]

괴델 논리와 같은 방식으로 정의된 진리값을 채택함으로써 , 유한 가치 논리 계열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 위에서 언급한 그리고 논리 , 여기서 진리값은 구간 의 유리수로 주어진다.

적용[편집]

다치 논리의 적용은 대략 두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5] 첫 번째 그룹은 다치 논리를 사용하여 이진 문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해결한다. 예를 들어, 다중 출력 불 함수를 나타내는 잘 알려진 접근 방식은 출력 부분을 단일 다값 변수로 처리하고 단일 출력 특성 함수 (특히 지시 함수 )로 변환하는 것이다.

두 번째 그룹은 다치 메모리, 산술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와 같이 2개 이상의 개별 신호 레벨을 사용하는 전자 회로 설계를 목표로 한다.

참고 문헌[편집]

  1. * S. Gottwald, A Treatise on Many-Valued Logics. Studies in Logic and Computation, vol. 9, Research Studies Press: Baldock, Hertfordshire, England, 2001.
  2. (Bergmann 2008)
  3. Gödel, Kurt (1932). “Zum intuitionistischen Aussagenkalkül”. 《Anzeiger d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in Wien》 (69): 65f. 
  4. Kreiser, Lothar; Gottwald, Siegfried; Stelzner, Werner (1990). 《Nichtklassische Logik. Eine Einführung》. Berlin: Akademie-Verlag. 41ff – 45ff쪽. ISBN 978-3-05-000274-3. 
  5. Dubrova, Elena (2002). Multiple-Valued Logic Synthesis and Optimization, in Hassoun S. and Sasao T., editors, Logic Synthesis and Verifi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89-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