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커우 문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원커우 문화(大汶口文化, 기원전 4300년경~기원 전 2600년경)는 중국 북부(화북)에 있었던 신석기 시대 후기의 문화이다. 다원커우 문화에 속하는 유적은 황하 하류의 산둥성 타이안 시 부근에서 많이 발견되었지만, 황해 연안과 보하이만 남안에서 루시 평원(魯西平原)의 동부, 회하 북안 일대에까지 넓게 퍼져 있고, 인접하는 안후이성, 허난성, 장쑤성에서도 일부가 발견되고 있다.

개요[편집]

르자오 시 쥐 현에서 출토된 다원커우 문화의 토기

다원커우 문화라는 이름은 1959년에 산둥성 타이안 시 다이웨 구의 다원커우진(大汶口)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의 유적에서 유래한다. 1962년부터 발굴이 시작되어, 1964년에 다원커우 문화라고 이름 붙여졌지만, 이후 출토품에서 이 문화가 양사오 문화와 같은 시기거나 그보다 더 오래된 것이 확인되었다.

발굴은 1974년1978년에도 진행되었지만, 다원커우 문화와 관계된 것은 유적의 층 안에서도 중간 부분에서만, 깊은 층은 베이신 문화(기원 전 5300년 ~ 기원 전 4100년)에 새로운 층은 룽산 문화(기원 전 3000년 ~ 기원 전 2000년)와 관계된 특징을 찾아 볼 수 있다. 다원커우 문화의 유적에서는 터키석, 비취, 상아 등으로 만든 가공품, 및 도기가 많이 발견되고 있다.

다원커우 문화는 초기(기원 전 4100년 ~ 기원 전 3500년), 중기(기원 전 3500년 ~ 기원 전 3000년), 후기(기원 전 3000년 ~ 기원 전 2600년)로 크게 세 시기로 나뉜다. 초기는 발굴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출토된 인골의 성별 등에서 계급차이는 크지 않았다고 생각할 수 있는 당시 사회는 모계 씨족 공동체였다고 추측되고 있다. 이 시기는 삼족의 도기(도기로 만든 세 개 다리의 조리기로 다리가 길다)나 홍도로 완성된 솥(3개의 다리가 달린 그릇) 등 다양한 형태를 한 도기가 특징적이다. 또 초기도 후기에는 흙으로 만든 분묘도 많아진다.

중기에 들어가면 출토되는 도기가 홍도에서 회도, 흑도가 증가하며, 크기나 문양, 형태의 다양함이 나타난다. 또 사회가 부계 씨족 공동체로 바뀌어 부계 사회가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후기에 들어가면 분묘 안에 목제 관이 나타난다. 다원커우 문화도 부계 씨족 공동체의 말기에 들어가면 계층화가 진행되어, 부장품이 없는 분묘가 있고, 대량의 부장품이 발견되는 분묘도 있다. 토기는 회도, 흑도가 주류가 이루게 되어, 그릇의 두께는 얇고 정교하게 변해가며, 흑도나 란각도(卵殻陶, 알 껍질과 같이 얇은 도기)를 특징으로 하는 룽산 문화로 연결된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