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꼬리수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긴꼬리수달
아르헨티나 코리엔테스의 긴꼬리수달
아르헨티나 코리엔테스의 긴꼬리수달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족제비과
아과: 수달아과
속: 아메리카수달속
종: 긴꼬리수달
(L. longicaudis)
학명
Lontra longicaudis
(Olfers, 1818)
아종
  • 본문 참조
긴꼬리수달의 분포

긴꼬리수달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정보부족(DD):: 직간접적 정보 부족으로 평가 불가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긴꼬리수달 또는 신열대구수달(Lontra longicaudis)은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 그리고 트리니다드 섬에서 발견되는 수달의 일종이다.[2][3]

2008년 이후 정보부족종(DD, Data Deficient Species)로 분류하고 있다. 낙엽성, 상록수 숲과 사바나 지역, 대초원, 판타나우 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강기슭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앞이 트이고, 유속이 빠른 강과 개울에서 사는 것을 좋아한다. 비교적 고립된 생활을 하며, 먹이는 주로 물고기와 갑각류 등이다.

아종[편집]

  • Lontra longicaudis annectens
  • Lontra longicaudis colombiana
  • Lontra longicaudis enudris
  • Lontra longicaudis incarum
  • Lontra longicaudis longicaudis
  • Lontra longicaudis raferrous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4]

수달아과

큰수달

아메리카수달속

북아메리카수달

바다수달

남아메리카수달

긴꼬리수달

해달

얼룩목수달

수달속

수달

수마트라수달

일본수달

아프리카민발톱수달

작은발톱수달

비단수달

각주[편집]

  1. M. Sepulveda, M. Franco, G. Medina, L. Fasola & R. Alvarez (2008). Lontra provocax. 2010 IUCN 위기종의 적색 목록. IUCN 2010. 2012년 5월 10일 내려받음.
  2.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doi:10.1186/1741-7007-6-10. PMC 2276185. PMID 18275614. 
  3. “Lontra longicaud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3월 21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data deficient
  4. Bininda-Emonds OR; Gittleman JL; Purvis A (1999).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Biol Rev Camb Philos Soc》 74 (2): 143–75. doi:10.1017/S0006323199005307. PMID 10396181. 
  • Neotropical Rain forest Mammals, A Field Guide – Louise H. Emmons and Francois Feer, 1997
  • Mammalian Species- No609, 1–5. Lontra longicaudis. Serge Lariviere, 5 May 1999 by th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