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중학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구제중학교(중국어: 舊制中學校, 일본어: 旧制中学校)는 2차대전 패망전까지 일본 본토와 조선등의 국외 통치지역에 설치됐던 정규 인문계 중등교육기관이다. 여자 학교는 고등여학교라 불렀다 (줄여서 고녀). 수업연한은 해방 이전까진 5년[1]이다. 조선에서 일본인용 학교는 중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조선인용 학교는 차별적으로 고등보통학교라고 불렀다.

개요[편집]

1911년 <조선교육령>이 반포되고 그 해에 인가된 최초의 고등보통학교가 관립 경성고등보통학교다. 당시에 여러 민족지도자들이나 미국선교사들에 의해 기존에 설립되어 운영되던 보성, 휘문, 배재등의 사립 중등학교들은 고등보통학교로 인가받는데 경제적, 종교적 사정 등에 따라 훨씬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1938년 <조선교육령>이 개정되면서 일본인 학교와의 차별을 없애 내선일체를 도모한다는 취지로 고등보통학교의 명칭이 남녀학교 각각 5년제 중학교와 고등여학교로 승격됐다. 해방 후인 1946년 군정하에서 6년제 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 학제 개혁[2]로 각각 3년제의 신제중학교와 신제고등학교로 분리 개편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초기의 고등보통학교 및 중학교[편집]

괄호안은 인가 년도

중기의 고등보통학교 및 중학교[편집]

태평양전쟁기 및 그 이후[편집]

기타[편집]

참고 항목[편집]

각주[편집]

  1. 당시에는 중등교육 과정이 나뉘어있지 않았으므로 현재의 중고등학교가 섞인 학제이며 당시 중학교 졸업자는 대학이나 전문대학급인 전문학교에 진학하였다
  2. 6년제 중학교를 각 3년의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 분리하면서 기존의 교명을 중, 고가 공유하는 경우도 있고(예, 경북중고, 부산중고) 고등학교명을 새로 짓는 경우(예, 전주북중-전주고, 광주서중-광주고)도 있었다. 1970년 중학교 무시험 정책으로 이들 세칭 일류중학교들은 폐교되거나 이름을 바꾸었다.
  3. 1970년 중학교평준화정책으로 중학교 폐교
  4. 경성제2고보 설립으로 경성제일고보로 개정
  5. 분리된 중학교는 1970년 중학교평준화정책으로 경운중학교로 개정
  6. 중학교 평준화 정책으로 1971년 폐교
  7. 1970년 중학교평준화정책으로 초량중학교로 개정, 1992년 부산중학교로 환원
  8. 1987년 중학교 폐교
  9. 1951년 학제 개혁이후 특이하게 중학교만 남은 사례이다.
  10. 1929년 이 학교의 일본인 학생들과 광주고보의 조선인 학생들간에 일어난 싸움이 광주학생운동이다.
  11. 호남 최초의 중학교이다
  12. 작가 조정래의 모교. 그의 작품 <태백산맥>에 여러 차례 언급됨.
  13. 광주제일고등학교의 모체이기도 하다. 1951년 정부의 6년제 중학교 중-고 분리정책에 의하여 광주서중에 병설된 학교가 광주고등학교이다. 이때 광주서중과 광주동중의 5,6학년 학생들이 광주고등학교로 편입되고 광주동중의 2,3학년 학생을 광주서중으로 편입시킨 후 광주동중을 폐교시켜 광주서중-광주고 계열을 완성했으나 1953년 광주서중은 같은 부지내에 광주제일고를, 1954년 광주고는 광주동중을 각각 병설하여 두 개의 계열로 나뉘게 되었다. <광주일고 홈페이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시사저널> 2009.12.08 광주제일고 대 광주고 Archived 2015년 4월 15일 - 웨이백 머신
  14. 1916년 9월 7일 사립 동래고등보통학교로 인가
  15. 조정래의 <태백산맥>의 배경. 작품 속 주인공들이 다닌 학교이자 일본인 학교.
  16. 1970년 중학교평준화정책으로 폐교, 2001년 재개교
  17. 1953년 분리
  18. 1970년 교명을 토성중학교로 변경후 1992년 경남중학교로 환원
  19. 무학여자중학교는 남녀공학 개편과 동시에 무학중학교로 변경
  20. 1905년에 공식적으로 출발한 언더우드의 경신학교는 종교적 이유로 인가받기를 거부하여 지정학교를 고수하다 해방 후 경신중학교를 거쳐 현 경신고등학교가 됨.
  21. 1909년 중동학교로 인가를 받았으나 야간반 위주의 성인교육에 역점을 두었던 이유로 일제의 고등보통학교 인가를 못 받았으나 해방 후 중동중학교를 거쳐 현 중동고등학교가 됨.
  22. 종교(YMCA)적인 이유로 고등보통학교 인가를 못받았으나 해방 후 성동중학교를 거쳐 현 성동고등학교가 됨.

참고 문헌[편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