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초월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초월면에서 넘어옴)

초월읍
草月邑
초월읍사무소
초월읍사무소

로마자 표기Chowol-eup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경기도 광주시
행정 구역42, 233
법정리대쌍령리, 쌍동리, 산이리, 늑현리, 학동리, 선동리, 용수리, 신월리, 지월리, 무갑리, 서하리, 도평리
관청 소재지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경충대로 1241
지리
면적55.9km2
인문
인구43,238명(2018.09.30.)
세대17,389세대
인구 밀도773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초월읍 행정복지센터

초월읍(草月邑)은 경기도 광주시이다. 2004년 읍으로 승격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은데, 자연적 특성을 표현하였다는 설, 과거 광주에 본궁의 풀을 베던 초벌(草伐)이라는 지역이 있어 이것이 변했다는 설 등이 있다.[1]

광주원주고속도로 초월 나들목이 있으며, 성남이천로와 연결되어 영남권에서 경기도 성남시로 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곳이다.

역사[편집]

  • 1577년 경기도 광주부 초월면 설치.
  • 1931년 10월 원래 읍사무소의 위치는 늑현리에 있었으며 그 후 국토개발로 인하여 위치를 대쌍령리 220-3번지에 목조와가 96.57m2을 신축 이전
  • 1969년 3월 현위치인 대쌍령리 211번지 목조와가 96.57m2 신축
  • 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대리가 실촌면(현 곤지암읍)으로, 상번천리와 하번천리가 중부면(현 남한산성면)으로 편입되어 관할구역이 13개리가 됨[2]
  • 2003년 5월 8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28개리로 됨
  • 2004년 6월 21일 초월면에서 초월읍으로 승격
  • 2005년 8월 16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35개리로 됨
  • 2009년 4월 20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의 42개리로 됨[3]

법정리[편집]

  • 대쌍령리(大雙嶺里): 읍 행정복지센터 소재지
    • 선린촌
  • 쌍동리(雙東里)
  • 산이리(酸梨里)
    • 점말(독점), 신배골(酸梨, 씀배골)
  • 늑현리(勒峴里)
    • 구러개마을
  • 학동리(鶴東里)
    • 상동막(上東幕), 학현(鶴峴, 하오개)
  • 선동리(仙東里)
    • 선장동(仙掌洞), 하동막(下東幕, 벌동막)
  • 용수리(龍水里)
    • 용두리(龍頭里, 용머리), 수입리(水入里, 무들이), 장담(長潭)
  • 신월리(新月里)
    • 두월(斗月, 두들기), 신단(新丹, 사기막골), 탄동(炭洞, 숯골)
  • 지월리(池月里)
    • 도시랭이(道士廊), 못골(池谷), 경수(鏡水), 설월(雪月)
  • 무갑리(武甲里)
    • 무래비(水伏里)
  • 서하리(西霞里)
    • 사마루, 안골
  • 도평리(島坪里)
    • 웃섬뜰, 아래섬뜰

교육[편집]

문화재[편집]

특산물[편집]

  • 표고버섯
  • 토마토
  • 시금치
  • 광주쌀 왕실옥미

각주[편집]

  1. http://www.gjmh.or.kr/snb-history.html?Table=ins_bbs11&mode=view&uid=99&page=1&section=
  2.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3. (http://sil.gjcity.go.kr/program/publicsil/condition/lstDetailCondition.asp?Con01Code=113&Kwa01Code=dong_choweol&T=770초월읍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역사), 2012년 4월 24일 확인

외부 링크[편집]